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전문의 일반의 간판 차이 구별법 꼼수 주의

by 카프리썬2 2022. 5. 23.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문의 일반의 차이 및 간판으로 구별하는 방법과 일반의들이 쓰는 꼼수 주의사항에 대한 포스팅을 들고 왔습니다. 솔직히 모든 사람들이 숙련된 전문의한테 진료받고 싶지 일반의한테 진료받고 싶은 사람들은 없을 거라 봅니다. 특히 성형 수술 같은 경우는 더더욱이요.

 

 

 

1. 일반의 전문의 차이는 뭘까?

 

전문의와 일반의를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기 전에 일반의는 도대체 무엇이고 전문의는 무엇인지 간략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일반의

보통 일반의가 되려면 의대(6년)를 나와서 의사국가시험을 보고 면허를 취득하면 그때부터 의사가 됩니다. 진료를 볼 수 있는 거죠. 이렇게 되면 일반의가 되는 겁니다. 전문용어로 GP(general practitioner)라고 합니다. 

 

  • 전문의

전문의가 되는 과정인 일반의보다 더 험난합니다. 일반의처럼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국시를 보고 면허를 취득한 것에 이어 인턴 1년 레지던트 4년의 과정을 걸쳐 전문의가 됩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통상적으로 말씀드리는 겁니다. 과마다 인턴/ 레지던트 과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통상적으로는 일반의가 전문의가 되려면 인턴 1년, 레지던트 4년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인턴 1년 과정 중에는 여러 진료과를 돌게 됩니다. 소아과 1개월, 이비인후과 1개월, 정형외과 1개월 등 이런 식으로  진료과 순회 근무를 하고 구체적으로 전공할 과를 정합니다. 

 

이렇게 인턴 1년 후 나한테 맞는, 내가 선택한 과를 지원하게 되고 4년 동안 그 과에서 레지던트를 하게 됩니다. 레지던트를 수료한 후 전문의 시험에 응시해서 합격하면 전문의 타이틀을 딸 수 있는 겁니다. 

 

일반의만 돼도 개업이 가능하며 이때 어떤 과든 개업이 가능합니다. 안과를 개업해도 되고 소아과를 개업해도 되고 의사의 자유입니다. 

 

2. 전문의 일반의 한눈에 구별법

 

자, 그렇다면 일반의와 전문의를 어떻게 구분할까요? 병원 간판에서 전문의와 일반의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의사 국가고시 의료법 시험문제에도 나오는 부분입니다. 의료법을 요약해보면 전문의만 의원 앞에 전문과목을 표시할 수 있고 일반의는 의원 앞에 전문과목을 표시할 수 없습니다. 

 

  • 일반의 간판 vs 전문의 간판

예를 들어 다들 아시는 안철수 의원은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 자격증이 있기 때문에 의사이자 일반의이며 어디서든 개원을 할 수 있지만 전문의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의원' 앞에 '진료과목'을 쓸 수 없습니다.

 

 

 

안철수처럼 일반의가 간판을 걸 때는 진료과목을 아래와 같이 표시합니다.

안철수 의원 (진료과목: 이비인후과)

하지만 '안철수 이비인후과 의원'으로 걸 수는 없습니다. 또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감기에 걸렸는데 집 앞에 똑같은 거리에 두 개의 병원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병원은 '진 이비인후과 의원',  B병원은  '진 의원 (진료과목 :이비인후과)' 두 병원 중 어느 병원이 전문의일까요? 네 맞습니다. 바로 A병원의 '진 이비인후과 의원'이 전문의가 되겠습니다. 

 

만약 간판이  '진 이비인후과 의원 (진료과목: 이비인후과, 흉부외과)'라고 되어있다면 해당 병원은 이비인후과 전문의인데 흉부외과 진료도 보는 곳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제 좀 이해가 되시죠?

 

  • 일반의 꼼수 조심

가끔 진료과목의 크기를 작게 해서 잘 안 보이게 만드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바로 아래 사진처럼 말입니다. 

 

일반의-의원-간판-사진
일반의-의원-간판

 

제가 요즘 이 부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둘러보니 위에 사진은 정말 아무것도 아닐 정도로 꼼수 쓰는 곳이 많았습니다. 이제 내과를 가시든 소아과를 가시든 이비인후과를 가시든 피부과나 성형외과를 가시든 꼭 전문의인지 일반의인지 간판 보고 확인하고 가시기 바랍니다.

 

물론 일반의도 의사이기 때문에 전문의만큼 진료를 잘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적으로는 레지던트 4년간 대학병원에서 잠 못 자가며 배운 학문의 깊이는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의학은 글로만 배우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전문의는 레지던트 4년 동안 많은 경험을 하게 됩니다. 괜히 전문의가 아닌 거죠. 

 

불편한 곳이 있다면 해당 분야의 전문의에게 진료받는 게 조금 더 빨리 나을 확률이 높겠죠.  제일 확실한 것은 내가 가고자 하는 병원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의료진의 약력을 눌러보는 겁니다. 4년간 잠 못 자고 엄청 고생해서 전문의를 땄기 때문에 전문의인데 전문의라고 약력에 쓰지 않는 경우가 있을까요? 아마 아무도 없을 겁니다. 

 

 

 

 

 

 

 


또 한가지 꼭 알아야할 치과 전문의 일반의 차이 및 간판 구별법도 총정리한 포스팅 아래 링크 첨부하겠습니다.

 

 

치과 전문의 일반의 차이 간판 구별법 총정리 필독

안녕하세요. 오늘은 치과 전문의 일반의 차이 & 간판 구별법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자 합니다. 치과 진료를 하면서 '나를 담당하는 선생님들은 과연 어떤 분일까'라는 생각해보신 적 없나요? 오

dosol55.tistory.com

 

댓글